본문 바로가기
군인

청년도약계좌 혜택 간단정리(25년 더 좋아진 것 까지!)

by min_inventory 2025. 3. 29.

 2024년 8월 기준으로 청년도약계좌의 핵심을 쉬운번역으로 알려드립니다

청년도약계좌 혜택 핵심정리! 쉬운설명 시작합니다. by nowsocio
2024년 08월 기준입니다 :)

 

 

목차

1. 청년도약계좌 오해 (2가지)

2. 청년도약계좌 장점 (3가지)

 가. 정부기여금

 나. 비과세

 다. 괜찮은 이자

3. 출처채팅상담 바로가기

반응형

1. 흔한 오해 2가지

청년도약계좌 흔한 오해 2가지. 1. 무조건 5년을 넣어야 한다? 2. 무조건 한달에 70만원을 넣어야 한다? by nowsocio

 

가. 매달 무조건 70만원을 넣어야 한다?

NO 아닙니다. 매달 최소 1천원부터 최대 70만원까지 자유롭게 넣을 수 있습니다. 넣는 금액이 변경되어라도 청년도약계좌는 유지됩니다

 

나. 무조건 5년 동안 넣어야 한다?

NO 아닙니다. 중도해지 가능합니다. 중간에 그만두어도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정부기여금과 비과세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장점 부분에서 알아봅시다


2. 청년도약계좌 최대 장점 3가지

청년도약계좌 혜택 3가지. 1. 정부기여금 2. 비과세 혜택 3. 괜찮은 이자 by nowsocio
최대 장점 3가지

+2025년 더 좋아진 청년도약계좌!

서민금융진흥원에서 가져왔습니다


더 좋아진 것 1) 기여금 지원 확대

 2025년 전에는 2,400만원 이하는 최대 40만원까지만 6%를 붙여서 2만4천원을 주었다. 70만원을 넣어도 추가된 30만원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붙여주지 않았다.

 하지만! 2025년 이후에는 2,400만원 이하는 40만원까지 6%, 추가 30만원에는 3%를 붙여 최대 33,000원을 붙여준다!

=> 70만원 넣으면 70만원 전체에 대해서 n%씩 더 준다!


더 좋아진 것 2) 3년 이상 유지시 혜택 강화

 2025년 전에는 3년 이상 유지하고, 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해당하지 않고 해지하면, 비과세 no, 기여금 no, 그냥 단순 이자만 받을 수 있었다. (이럴거면 왜 넣냐고?!)

 하지만! 2025년 이후에는 3년 이상 유지하고, 중도에 깨는 경우 비과세 yes!(이자의 15.4% 안떼고 다 준다), 기여금 60% yes! 

=>3년 채우고 '특별중도해지'가 아니면 아무것도 아니었는데, 3년만 채우면 그럭저럭 괜찮은 적금이 되었다!


 

더 자세한 사항은 금융위원회 유튜브! (90초만 투자해)

https://www.youtube.com/watch?v=19Y7dC84SD8

 

 


가. 정부기여금

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 한달마다 최소 2만 1천원에서 최대 2만 4천원까지 정부가 지원하는 금액을 말합니다. by nowsocio
준다니 받아야지

 

 정부기여금이란 정부가 돈을 얹어주는 것을 말합니다. 매달 넣는 금액에 따라 일정 비율로 정부가 돈(기여금)을 더 줍니다. 더 받는 다는 점에서 이자와 같지만 이자와 다른 돈입니다. 이자를 받고 또 받는 것입니다. 그 비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개인소득 한 달에 정부 기여금이 적용되는 최대 금액 정부기여금 비율 한 달에 받을 수 있는 최대 정부기여금
2,400만원 이하 40만원 6.00% 2.4만원
3,600만원 이하 50만원 4.60% 2.3만원
4,800만원 이하 60만원 3.70% 2.2만원
6,000만원 이하 70만원 3.00% 2.1만원
7,500만원 이하 - - 0원

 

 정부기여금은 개인소득에 따라 달라집니다. 총급여를 기준으로 5가지 범주가 있습니다

 

1) 2,400만원 이하는 매월 최대 40만원에 대해 6%의 정부기여금을 줍니다. 즉, 한 달에 2만 4천원의 돈을 정부가 더 줍니다. 40만원 * 0.06 = 2만 4천원입니다

 

 (예시) 개인 소득이 2,400만원 이하인데 월 50만원을 넣었다. 하지만 기여금은 2만 4천원입니다.

왜냐? 한 달에 받을 수 있는 기여금이 최대 2만 4천원이기 때문입니다. 2,400만원 이하에서는 40만원 이상 넣어도 정부기여금은 2만 4천원 이상 받을 수 없습니다.

 

 2,400만원 이하처럼 정부기여금 비율이 6%인 경우가 2가지가 더 있습니다.

 가) 육아휴직급여(육아휴직수당 포함)만 있는 경우 

 나) 군장병급여만 있는 경우입니다. 군 복무 중이거나 전역 후 소득이 없더라도 군장병급여가 소득으로 인정되 청년도약계좌에 가입 가능합니다

 

2) 3,600만원 이하는 매월 최대 50만원에 대해 4.6%의 정부기여금을 줍니다. 즉, 한 달에 2만 3천원의 돈을 정부가 더 줍니다. 50만원 * 0.46 = 2만 3천원입니다

 

3) 4,800만원 이하는 매월 최대 60만원에 대해 3.7%의 정부기여금을 줍니다. 즉, 한 달에 2만 2천원의 돈을 정부가 더 줍니다. 60만원 * 0.37 = 2만 2천원입니다

 

4) 6,000만원 이하는 매월 최대 70만원에 대해 3%의 정부기여금을 줍니다. 즉, 한 달에 2만 1천원의 돈을 정부가 더 줍니다. 70 * 0.03 = 2만 1천원입니다

 

5) 6,000만원 초과 7,500만원 이하는 정부기여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비과세 혜택 (이자에 대해 15.4%를 더 받을 수 있다!)이 있으니 왠만한 적금보다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

 

정부기여금을 받을 수 있는 경우 (크게 3가지)

청년도약계좌 정부지원금을 받는 방법 3가지. 1. 만기해지, 5년 성공. 2. 특별중도해지 3. 3년 이상 유지. 특별중도해지 인정 사유는 8가지로 아래와 같습니다. 생애 최초 주택구입(축하합니다!), 혼인 및 출산, 가입자의 퇴직, 사업장의 폐업, 가입자의 사망, 해외 이주, 천재지변,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이상입니다. by nowsocio
5년, 특별 해지, 3년 이상

 

가) 만기 (5년 성공!)

나) "청년도약계좌 특별중도해지 인정 사유"에 해당하는 사유로 중도해지할 때

다) 3년 이상 납입 후 중도해지할 때 (단 정부기여금은 60% 수준에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특별중도해지 인정 사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생애 최초 주택구입 (축하합니다!) : 생애 최초로 기준시가(가격) 5억원 이하, 전용면적 85m제곱 이하 주택을 취득 후’ 6개월 이내에 해지가 가능합니다

(2) 혼인 및 출산의 경우

(3) 가입자의 퇴직

(4) 사업장의 폐업

(5) 가입자의 사망

(6) 해외 이주

(7) 천재지변

(8)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나. 이자 비과세 혜택

청년도약계좌 혜택 2번째, 비과세 혜택, 다른 적금은 다 떼는 15.4% 청도계는 줍니다! by nowsocio
이자 소득에 대해서 비과세 혜택을 줍니다

 

 비과세는 한마디로 이자소득에 대해 15.4%를 더 받는다는 뜻입니다

 

돈을 넣으면 이자가 붙습니다. 돌려받을 때 이자에 대해 세금을 내야합니다. 세금은 15.4%입니다. 비과세는 그 15.4%를 받는다는 뜻입니다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경우 (3가지)

청년도약계좌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경우는 3가지 입니다. 정부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경우와 같습니다. 1. 만기해지, 5년 성공. 2. 특별중도해지 3. 3년 이상 유지. 특별중도해지 인정 사유는 8가지로 아래와 같습니다. 생애 최초 주택구입(축하합니다!), 혼인 및 출산, 가입자의 퇴직, 사업장의 폐업, 가입자의 사망, 해외 이주, 천재지변,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이상입니다. by nowsocio
정부지원금 받는 조건과 같습니다

 

가) 만기 (5년 성공)

나) "청년도약계좌 특별중도해지 인정 사유"에 해당하는 사유로 중도해지할 때

다) 3년 이상 납입 후 중도해지할 때 (단 정부기여금은 60% 수준에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특별중도해지 인정 사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생애 최초 주택구입 (축하합니다!) : 생애 최초로 기준시가(가격) 5억원 이하, 전용면적 85m제곱 이하 주택을 취득 후’ 6개월 이내에 해지가 가능합니다

(2) 혼인 및 출산의 경우

(3) 가입자의 퇴직

(4) 사업장의 폐업

(5) 가입자의 사망

(6) 해외 이주

(7) 천재지변

(8)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다. 괜찮은 이자

청년도약계좌 혜택 3번째, 괜찮은 이자율. 3년 고정금리로 기본 4.5%, 최대 5.5%입니다. 2년은 변동금리인데, 설마 '헉'할 정도로 내리겠어요. 설마요. by nowsocio
금리 기본 4.5%

청년도약계좌 11개 은행별 금리

은행 3년 고정 금리(%) 은행별 우대금리(%)
농협 4.5 최대 1.0
신한 4.5 최대 1.0
국민 4.5 최대 1.0
우리 4.5 최대 1.0
하나 4.5 최대 1.0
기업 4.5 최대 1.0
대구 4.0 최대 1.5
부산 4.0 최대 1.5
경남 4.0 최대 1.5
광주 3.8 최대 1.7
전북 3.8 최대 1.7

 

 3년은 고정 금리(3.8%~4.5%)로 3년 이후의 기간은 변동 금리로 진행됩니다

 

3년 후에 낮은 금리로 바뀌면 어떻게 하나, 걱정하실 수 있습니다. 먼저 정부기여금과 비과세라는 장점을 잊지않도록 합시다. 그리고 나서 생각해봅시다.

 

기준금리가 낮아진다면 다른 적금들의 금리도 같이 낮아질 것이기 때문에 그리 걱정하실 필요 없습니다. 이름이 "청년도약계좌"인데 금리를 뚝 떨어뜨리는 그런 엄청난 일을 하지는 않겠죠?

 

자세한 우대금리는 아래의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청년도약계좌 금리 비교)를 이용하세요 :)

https://portal.kfb.or.kr/compare/receiving_youth_leap_2.php

 

전국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금융상품정보, 금리/수수료 비교공시, 금융서비스정보, 소비자정보, 금융교육, 보이스피싱정보

portal.kfb.or.kr


3. 출처 및 채팅상담 바로가기

서민금융진흥원/청년도약계좌 상품 안내

https://ylaccount.kinfa.or.kr/main

 

 

서민금융진흥원 | 청년도약계좌 상품 안내

청년도약계좌 상품 안내 개인요건 및 가구원 최신화 ※ 본인 나이 및 주민등록표등본 기준의 가구원 정보에 이상이 없는 경우,별도로 최신화를 신청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바로 가구원 동의절

ylaccount.kinfa.or.kr

 

 

청년도약계좌 채팅상담 바로가기

https://chat.kinfa.or.kr/

 

Vue App

 

chat.kinfa.or.kr

 

반응형